
이해와 오해 ㊶ 애국, 용기
애국, 용기 우리가 프랑스 지식인에 관해 얘기할 때면 에밀 졸라로부터 시작되는 계보를 떠올린다. 그는 간첩으로 몰린 드레퓌스를 변호했다. 싸르트르는 자동차공장의 드럼통 위에 올라서서 연설을 했고 푸코의 대머리는 경찰봉에 맞아 터졌다. 모두가 정부에 대항하는 장면이...
2016-05-26 15:15:00
이해와 오해 ㊵ 중국의 여성 부호(富豪)
중국의 여성 부호(富豪) 중국의 경제 월간지 《호윤백부(胡潤百富, Hurun Report)》는 매년 중국 부호들의 순위를 발표하여 상당한 인기를 끄는 잡지이다. 이 잡지가 2010년 10월호에 발표한 ‘전세계 100대 부호’ 가운데서 여성 부호가 가장 많은 나라는...
2016-05-13 14:30:00
이해와 오해 ㊴ 엘긴 대리석(2)
엘긴 대리석(2) "어느 여름날, 두 명의 강도가 여름 궁전에 침입했다. 한 명이 물건을 깨끗이 쓸어 담는 동안 한 명은 불을 질렀다. 승리자들은 여름 궁전의 보물을 모조리 훑어갔고 훔친 물건은 나누어가졌다. 승리자들이란 원래부터가 강도로 변하기 마련이다." 프랑...
2016-04-29 13:43:00
이해와 오해 ㊳ 엘긴 대리석(1)
엘긴 대리석(1) 서구문명의 정신적 바탕은 그리스-로마 신화와 기독교 교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 신화를 생각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파르테논 신전을 떠올리게 된다. 정작 아테네를 가본 적이 있는 여행객이라면 파르테논 신전의 훼손된 모습에서 비애와 절망...
2016-04-15 14:43:00
이해와 오해 ㊲ 영화 「동주」를 보면서
영화 「동주」를 보면서 시인 윤동주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가 꽤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그와 동시대를 살아간 많은 작가들이 시대의 무게를 감당하기 못해 영혼을 포기한 글을 썼지만 윤동주는 자신의 글 속에 영혼을 오롯이 담아내고 지켜낸 시인이란 점에서 귀한...
2016-04-07 15:03:00
이해와 오해 ㊱ 고대에 외국인들은 중국을 어떻게 불렀을까?
고대에 외국인들은 중국을 어떻게 불렀을까? 고대에 중국과 가장 오래 동안, 그리고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고 관련 문헌기록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나라는 인도이다. 외국에서 중국을 부른 가장 오래된 호칭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을 지칭하는 Cina이다. 한자로 번역된...
2016-03-18 18:24:00
이해와 오해 ㉟ 어떤 시인
어떤 시인 ‘3월 하늘 가만히 우러러보며’ 시 두 편을 떠올려본다. ....(전략前略) 얼굴에 붉은 홍조를 띠우고 “갔다가 오겠습니다” 웃으며 가드니 아우야 너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마쓰이 히데오! 그대는 우리의 오장(伍長) 우리의 자랑 그대는 조선 경기도 개...
2016-03-04 17:13:00
이해와 오해 ㉞ 중국인의 연령칭호
중국인의 연령칭호 중국인이 오랜 옛날부터 사물과 사건을 표현할 때는 비유로서 깊은 뜻을 전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인이 나이를 어떻게 부르는지 살펴보면 그런 특징이 잘 드러난다. 영아: 갓 태어난 아기. 강보: 한 살 미만(강보는 아기를 싸는 포대기). 해제: ...
2016-02-19 13:34:00
이해와 오해 ㉝ 조선시대의 미인
조선시대의 미인 조선 건국 초기에는 역성혁명을 합리화하는 이념적 방편의 하나로써 고려시대의 사치와 퇴폐풍조를 배척하였다. 그러므로 근검과 절약이 강조되고 옷차림과 화장에도 여러 차례 금령이 내려졌다. 시대마다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조선시대 초기의 여성 화장법의 ...
2016-02-05 13:31:00
이해와 오해 ㉜ 헤어지기의 풍습
헤어지기의 풍습 최근 국내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재벌기업의 비교적 젊은 총수가 부인과 이혼하겠다는 뜻을 담은 개인 편지를 언론사에 보낸 일이 화제가 되었다. 그는 혼외의 관계를 통해 낳은 자식들이 있으며 부인과는 10여 년 동안 불화해왔다고 밝혔고 부인은 가정과...
2016-01-22 14:32:00
이해와 오해 ㉛ 재미있는 복수
재미있는 복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은본위제의 역사를 가진 중국은 예부터 은괴의 장거리 운반이 교역의 중요한 과제였다. 당 나라 때에는 “비전(飛錢),” 송 나라 때는 “비표(飛票)”라고 부르는 일종의 수표가 통용되었으나 전국적으로 통용되지는 않았다. 이런 까닭에...
2016-01-11 13:51:00
이해와 오해 ㉚ 오 마이 달링 클레멘타인
오 마이 달링 클레멘타인 아메리칸 포크 송 가운데서 한 때 우리 중등학교 음악 교과서에까지 실려 널리 알려진 곡이 ‘오 마이 달링 클레멘타인"이다. 이 노래가 불리기 시작한 것은 1863년과 1884년부터라는 두 가지 설이 있지만 미국의 ‘국민가요"의 반열에 들어...
2015-12-21 12:30:00
이해와 오해 ㉙ 불교의 시간체계
불교의 시간체계 시간에 관해서 불교만큼 방대하고도 정교한 개념체계를 갖춘 종교가 없을 듯하다. 하루 이내의 짧은 시간을 보면 찰나(刹那, 산스크리트어로 ksama)는 1/75초, 탄찰나(坦刹那, tatksama)는 1.6초, 납박(臘縛, lava)은 96초, 모호...
2015-12-04 20:01:00
이해와 오해 ㉘ 해적 여두목 이야기
해적 여두목 이야기 조니 뎁이 멋진 연기를 보여준 해적 영화 ‘카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3편(‘세상의 끝에서")에는 전 세계의 해적들이 모여 해적 왕을 뽑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서 동남아 해적의 두목으로 ‘칭"이란 이름의 여선장이 등장하는데, ‘칭"의 실존 모델이...
2015-11-21 15:14:00
이해와 오해 ㉗ ‘유엔탕’과 부대찌개와 스팸
‘유엔탕"과 부대찌개와 스팸 중국이나 홍콩을 여행하다보면 현지 한국음식점의 식단에 부대찌개가 올라와 있고 한국을 다녀온 유학생이나 관광객들 중에서도 부대찌개를 한국의 대표 음식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전쟁 시기를 주제로 한 안정효의 소설 ‘은마는 오지...
2015-11-06 12:5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