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와오해 [86] 마파두부
마파두부(麻婆豆腐) 마파두부는 중국의 4대 요리 가운데 하나인 사천요리 가운데서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요리이다. 청(清)왕조 말기에 사천성(泗川省) 수도인 성도(成都)의 만복교(萬福橋) 곁에 작은 식당이 있었다. 이집 안주인은 얼굴에 마마자국이 남아있고 남편...
2018-04-25 12:07:00
이해와오해 [85] ‘표해록(漂海錄)’
‘표해록(漂海錄)’ 14세기 초에 마르코 폴로가 출간한 ‘마르코 폴로 여행기’(우리에게는 ‘동방견문록’이란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를 통해 서방세계는 원(元)왕조 시대의 중국의 모습을 알게 되었고 이때부터 서방에서는 ‘동방열풍’이 일기 시작했다. 마르코 폴로 이...
2018-04-12 11:07:00이해와 오해 [84] 원세개(袁世凱)의 조선인 첩들(2)
원세개(袁世凱)의 조선인 첩들(2) 원세개의 조선인 첩 김씨는 어떤 (중국 쪽)기록에서는 조선의 공주라고 묘사한다. 조선의 공주가 김씨 일리는 없지만 최소한 조선국왕이 혼사에 깊이 간여했을 가능성을 유추해볼 수 있는 단서는 된다. 김씨는 자신이...
2018-03-29 12:40:00
이해와 오해 [83] 원세개(袁世凱)의 조선인 첩들(1)
원세개(袁世凱)의 조선인 첩들(1) 1912년 중국에서 신해(辛亥)혁명이 일어났을 때 원세개(1859—1916)는 이홍장이 육성한 신식군대 북양군(北洋軍)의 영수였다. 혁명군은 청 제국을 무너뜨릴 만큼 강력하고 통일된 무력을 갖추지 못했다. 한편 청 황실이 의존하는 ...
2018-03-16 11:48:00
이해와 오해 [82] 고대도(古代島)와 칼 귀츠라프
고대도(古代島)와 칼 귀츠라프 행정구역으로는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에 속하는 고대도(古代島)는 인근 해역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상주인구가 2백여 명인 자그마한 섬이다. 아름다운 풍광과 느린 삶을 찾는 섬 여행가들 사이에서 약간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
2018-03-01 15:19:00
이해와 오해 [81] 백성-신민-국민-시민-인민
이해와 오해 [81] 백성-신민-국민-시민-인민 중국 고대에 서민은 성(姓)이 없었다. 토지와 관작을 가진 사람만이 성을 가질 수 있었으니 ‘백성(百姓)’이란 곧 귀족의 통칭이었다. 상(商)나라 때는 노예 소유주를 가리켜 백성이라 하였고 주(周)나라에서는 봉건영주를 ...
2018-02-07 10:43:00
이해와 오해 [80] 기원전 164년, 두부 탄생
이해와 오해 [80] 기원전 164년, 두부 탄생 2007년 9월, 중국요리협회는 안휘(安徽)성 회남(淮南)시에 ‘중국두부의 고향’이란 칭호를 부여했다. 회남은 오랜 역사를 가진 문화도시이다. 이곳을 중심으로 했던 옛 회남국은 한(漢)나라의 제후국으로서 기원전 203...
2018-01-24 11:23:00
이해와 오해 [79] 운남(雲南) 육군강무당(陸軍講武堂)
이해와 오해 [79] 운남(雲南) 육군강무당(陸軍講武堂) 지난해 12월에 우리나라 대통령이 중국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 유적을 찾아 참배했다. 이 일로 중국내에 있는 우리의 독립운동 관련 유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국내에는 독립운동 관련 유적이 여러 곳에 널려있는...
2018-01-10 19:07:00
이해와 오해 [77] 정월
정월(正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음력 역법은 고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다. 음력으로 새해의 첫 달을 정월이라 한다. 중국 고대에는 정월은 왕조가 바뀔 때마다 따라서 바뀌었다. 상(商) 왕조는 그 전 왕조인 하(夏) 왕조 역법에서 12월인 달을 새 해의 첫 달로 ...
2017-12-27 17:52:00
이해와 오해 [77] 역사 기록의 차이, 로마와 중국의 역사가
역사 기록의 차이, 로마와 중국의 역사가 역사서는 작자 자신의 배경을 때로는 많게, 때로는 적게 반영하고 있다.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가 쓴 『편년사』와 『역사』는 로마제국 전기의 역사를 기록한 거작이다. 『편년사』는 서기 14년의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죽음과 티베...
2017-12-15 15:27:00
이해와 오해 [76] 김치와 고추
김치와 고추 우리나라 식단 차림의 전형인 반상(飯床) 차림은 뚜껑이 있는 그릇에 담겨 나오는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3첩, 5첩, 7첩 등으로 구분되며 왕의 수라상은 12첩이었다. 밥과 국과 김치는 어디에서나 빠지지 않으면서 첩 수에는 넣지 않았으니 그만큼 김치는 ...
2017-12-04 10:15:00
이해와 오해 [75] 고대제왕의 칭호
왕, 황제, 짐, 폐하, 전하...고대 제왕의 칭호 군주를 황제라고 부르게 된 것은 진시황(秦始皇) 때부터 시작된 일이다. 그 이전에 중국에서 최고 통치자는 ‘왕(王)’, ‘황(皇)’, ‘제(帝)’란 단칭으로 불렸다(예컨대, 주문왕[周文王], 주무왕[周武王],...
2017-11-17 11:55:00이해와 오해 [74] 일송정에 푸른 솔은 있었을까?
일송정에 푸른 솔은 있었을까? 박종일 조국 광복의 의지를 장렬하게 노래한 ‘선구자’는 운동권 집회에서 단골로 불리며 심지어 행사장이나 술자리에서도 널리 불리는, 세대와 계층을 뛰어넘어 온 국민이 사랑하는 국민가곡이다. 눈보라 휘날리는 만주 벌판에서 말을 달리는...
2017-11-01 11:25:00
이해와 오해 [73] 60여년 전 상해에서 ‘춘향전’ 공연, 한류의 원형
60여년 전 상해에서 ‘춘향전’ 공연, 한류의 원형 박종일 1953년, 상해 월극원(越劇院)에서 서옥란(徐玉蘭)-(각주1)과 왕문연(王文娟)(각주2)이 이끄는 극단이 조선(한국)전쟁 참전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열었다. 그 전에 극단은 조선(북한)극단이 공연한...
2017-10-25 14:51:00
이해와 오해 [72] 전족과 술잔, 풍습 또는 유행
[파주에서 원고] 72 전족과 술잔, 풍습 또는 유행 박종일 중국 여성들의 복식에 전족(纏足)이란 풍습이 있다. 소녀가 어릴 적부터 천으로 발을 싸매어 압박하여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발가락이 발바닥에 붙도록 만든다. 압박은 갈수록 강해져 마침내 발은 예각...
2017-10-25 10: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