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파주에 깃든 생명들 날좀 봐요, 봐요!(54) 우리의 민족과 함께 노래한 명가수 ‘꾀꼬리’

입력 : 2018-07-12 12:00:06
수정 : 0000-00-00 00:00:00

우리의 민족과 함께 노래한 명가수 꾀꼬리

 

 

숲과 들녘의 여름은 녹색으로 절정을 달려가고 있다. 지금쯤 노래를 하는 새들 가운데 아름다움과 다양성을 첫 손가락으로 꼽으라면 단연 꾀꼬리. 조선 후기의 물명고(物名攷)는 꾀꼬리 소리가 무려 32가지나 된다고 적을 정도다.

우리의 옛 조상들은 꾀꼬리의 노랫소리와 함께 읊어왔다. 고구려의 황조가(黃鳥歌), 고려의 동동(動動), 조선의 수많은 시조와 민요에 꾀꼬리의 노랫소리가 스며들어 있다.

꾀꼬리는 우리의 정서와 농익어 있는 이유는 단순히 노랫소리와 자태뿐만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이웃이었기 때문이다. 마을 숲에 이웃으로 살아 있다가 늦가을부터 겨울까지 홀연히 사라졌다가 봄이면 고향을 다시 찾아 오는 이웃이었다. 봄이면, 꾀꼬리 암수가 사랑노래를 불러 짝짓기를 하고 마을 숲 상수리나무나 밤나무 가지에 둥지를 튼다. 자식농사를 위해 꾀꼬리는 천적을 피하기 위해 제법 높은 나무에, 그리고 적당한 굵기의 가지를 명당으로 삼아 둥근 사발모양의 둥지를 촘촘히 엮어 만든다. 고양이나 태풍으로부터 새끼들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배려로 설계한 둥지인 셈이다.

둥지가 완성되면 알은 보통 45개 낳는다. 이를 부화한 후에 꾀꼬리 부부는 헌신을 다해 자식농사를 짓는다. 사람의 갓난이에게 젖이 필요하듯, 새들의 어린 새끼들에게도 젖에 해당하는 먹이가 필요하다. 그 게 곤충들의 애벌레다. 풍뎅이같이 딱딱한 갑충은 새끼들이 목구멍을 넘기기에는 위험한 유아식이다. 그래서 말랑말랑한 애벌레가 필요한 것이다.

봄을 찾아 와 번식을 하는 것은 바로 곤충의 애벌레가 많기 때문이다. 곤충의 애벌레가 번성하는 시기는 봄철의 풀들과 무관하지 않다. 부드러운 잎은 곤충을 불러 알을 낳게 한다. 자신의 일부를 희생(犧牲)하고 여기서 자란 곤충은 그 대가로 꽃가루받이를 하게 하는 것이다.

곤충과 봄철 풀들 사이에서, 꾀꼬리는 무엇을 도와줄까? 그렇다. 그 많은 곤충들의 애벌레가 다 살아나 잎을 먹어 치운다면 식물들은 희생을 넘어 마른 가지만 남을 것이다. 그래서 봄철의 새들이 균형자(均衡者)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식물과 곤충과 새들이 조화롭게 살아왔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파주는 봄, 여름철에 다른 어떤 곳보다 많은 새들이 찾아와 사랑을 노래했다. 꾀꼬리는 물론, 제비, 뜸부기, 파랑새, 때까치, 물총새, 청호반새, 백로류, 등등.

그러나 얼마 전부터 제비, 뜸부기, 때까치, 물총새는 수가 급감하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난 것일까? 사람들의 우매함이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농약농사의 급증이 이 이웃들을 멸종으로 몰아 간 것이다. 우리들의 집 처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비 둥지가 있었다. 일 년에 두 번 번식하는 제비는 우리 사람보다 많았다. 그러나 농가의 처마에는 그들의 흔적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농약을 쓰는 농가에는 없지만, 오히려 상가나 식당, 휴게소에는 제비둥지가 피난처로 삼아 살고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통일촌의 휴게소, 어유지리 삼거리 식당과 상가를 꼽을 수 있다.

제비가 그러하듯 뜸부기, 때까치도 멸종위기의 벼랑에 선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꾀꼬리는 먹이사슬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꾀꼬리는 다행히 먹이사슬의 사냥터가 논농사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우리의 주식(主食)인 쌀의 생산 공간에서 탈출할 수 있는 새가 되었다는 것이 다행인 건지.... 논농사의 현실이 참 슬프다.

 

노영대 - 한국자원정보원 원장

 

#92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