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 파주시 단수, 재난 관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기고 - 파주시 단수, 재난 관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파주시 전체 53만 가구 중 약 74%인 17만 가구가 이번 대규모 단수 사태로 인해 일상생활에 막대한 불편을 겪었다. 이번 사고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추진한 ‘한강하류권 4차 급수체계 조정사업’ 공사 과정 중 밸브실 누수로 광역 송수관이 파손되면서 발생했다.
그러나 한국수자원공사와 파주시의 대응은 아쉬움을 남겼다. 사태 발생 직후 양 기관은 신속하게 협력해 시민에게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했어야 했다. 하지만 사고 후에도 파주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한 ‘경기북부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 미팅에 참석하였다. 기초자치단체장은 시민의 생활과 직결된 현안에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시민의 불편 해소를 위한 실질적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 행사 참석이 과연 적절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파주시는 11월 14일 20시 10분이 되어서야 “단수 지역은 내일 중 재공급 예정이며, 생수 구입은 마트 등에서 세대별 1박스(2L 6개 등)까지 보상이 가능하다”는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 늦은 안내와 부족한 대책 속에서 시민들은 불편을 스스로 감내해야 했다.
특히 고령자, 장애인, 외국인 등 정보 취약계층은 생수 배부 안내를 접하기 어려웠고, 이동이 불편한 교통약자는 안내를 알고 있어도 생수 수령에 실질적 제약이 있었다. 이는 재난 대응 과정에서 행정이 보편적 접근성과 평등성을 확보하지 못한 명백한 문제로,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이 최소한의 보호조차 받지 못한 결과이다.
단수 사태는 단순한 일시적 불편이 아니다. 물은 생명과 공동체의 기반이며, 공공의 책무이다. 파주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사고로 치부하지 말고, 행정 신뢰 회복과 공정한 재난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 신속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모든 시민이 평등하게 보호받는 재난 대응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2025년 11월 15일
정의당 파주시위원회(위원장 김찬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