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의원 “ 경기북부 에너지 고속도로가 수도권 전력위기와 재생에너지 목표의 해법 ”
- 경기북부권 , 재생에너지 확대의 전략 거점으로 육성 제안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박정 의원 ( 더불어민주당 · 파주시을 ) 은 14 일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 경기북부권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이 수도권 전력리스크와 정부의 재생에너지 목표를 동시에 해결할 유일한 해법 ” 이라고 강조했다 .
최근 정부는 2035 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70TWh 까지 확대 , 전체 발전량의 37% 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 이를 달성하려면 현재 34GW 수준의 설비를 최소 130~200GW 로 늘려야 하며 , 서울시의 3 배 (1,700 ㎢ ) 이상 규모의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 .
박 의원은 “ 좁은 국토 여건상 대규모 신재생 입지를 찾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며 , “ 그러나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제한보호구역 ( 민통선 이남 약 1,646 ㎢ ) 뿐 아니라
민통선 북상 시 추가 확보되는 미개발 부지가 신재생에너지 입지로 전환될 수 있다 ” 고 제안했다 .
박 의원은 “ 현재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뿐 아니라 경기도 AI 선도산업 특구와 연계해 경기도 AI 벨트가 완성되면 수도권 전력 리스크가 국가 발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 고 진단했다 .
이어 “ 남부권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기존 ‘ 에너지 고속도로 ’ 사업은 수백킬로의 송전망이 필요해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된다 ” 며 , “ 경기북부권은 파주 ~ 서울 30km, 고양 ~ 용인 80km 수준으로 훨씬 짧아 비용과 기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 고 설명했다 .
박 의원은 “2035 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 수도권 전력안정 , 에너지 고속도로의 효율성 제고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전략이 바로 ‘ 경기북부 에너지 고속도로 ’ 라며 “ 정부가 이를 포함한 실질적 신재생에너지 확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 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