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 유현경 개인전

예술문화 | 작성일: 2025-09-07 17:41:25 | 수정일: 2025-09-07 18:27:18

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 전 시 명 : <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 작 가 명 유현경 

▶ 전시기간 : 2025년 월 30 일 – 2025년 10 월 30일  

▶ 전시장소 스페이스 안녕(용산구 소월로44길 23) 

▶ 전시장르 회화 

▶ 관람안내 -토 11:00-18:00 /월 휴무 (* 추석 연휴 휴무

▶ 문 의 : 02-792-0108 /010-9032-0039(홍군

▶ 이 메 일 : mail@spaceanyoung.com 

 

 

◆ 전시 소개 

 

유현경 개인전 

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현대미술의 마음을 나누는 공간이란 모토로 새로이 문을 여는 스페이스 안녕이 작가 유현경의 개인전으로 그 시작을 알린다. ‘스페이스 안녕은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화두를 중심으로 1년의 전시를 꾸려 나간다그리고 2025-2026년에는 공존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서로 도우며 살아간다는 뜻의 공존이라는 단어는아이러니 하게도 다툼과 갈등이 있을 때 더욱 주목받는다오랫동안 수없이 논의된 다소 진부한 논제임에도 이것을 들추는 이유 역시그 어느 때보다 현시점이 도를 넘은 다툼에 위기와 불안감이 고조되어 있기 때문이다공존을 위해선 때론 갈등을 드러내야만 한다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불가피한 다툼도 있기 마련이다그러나 최근의 행태는 지나치게 이기적인 모습으로 공존이 아닌 이기기’ 위한더 나아가 지배하기 위한’ 다툼으로극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페이스 안녕은 앞으로 1년 동안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공존과 관련된 문제들을 여러 작가들의 전시를 통해 만나보려 한다작품을 통해 만나는 예술가들의 지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해법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유현경_자화상 2025-6_Oil on canvas_33.5x24.5cm_2025

 

 

한편 스페이스 안녕의 첫 전시이자, ‘공존’ 이란 주제의 첫 전시인 유현경 작가의 개인전은나로 시작하는 공존 즉 내 마음 속 공존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전시이다작가 유현경은 회화의 깊이를 찾아 어둠으로 고행을 떠난 자 같다그만큼 작가의 작업에는 깊은 어둠이 내재되어 있다

풍경과 인물이 주를 이루는 작가의 작업은 추상과 구상의 경계에서 작가만의 회화의 세계를 구축 하고 있다그 모습은 형체를 해체했다고 보기 보단어둠 속에서 대상을 다시 발견하여 표현한 듯하다즉 회화의 깊이를 고민하는 작가 유현경에게 어둠은 하나의 세계관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이다유현경의 회화에서 어둠은 자신의 고통을 들여다보는 시간이기도 하다작가는 그 고통에서 나올 생각은 하지 않고 고통과 끝없이 마주하며 고통의 본질을 탐구한다탐구의 시간을 거쳐 짙어진 고통과 어둠은 결국 작품의 색이 되고 선이 되어 유현경표 회화를 만들어 낸다

이번 전시에서는 유현경의 작품 중 최근 자화상을 중심으로 작가의 회화를 들여다보고그 안에 담긴 공존의 마음을 찾아본다.  작가는 고통과 어둠이 극한에 다다랐을 때 자화상을 그린다

 

                ▲유현경_자화상 2024-8_Oil on canvas_35x24.5cm_2024

 

그것은 마치 어둠 속에 사로잡히기 전 자신을 구출하기 위한 몸부림 같다극한에 달한 어둠의 깊이가 깊을 수록 그 어둠 속에서 더 많은 자화상을 찾아 내는 것을 보면그것은 또 그 어둠 속으로 갇히지 않고 깨달음을 얻고 말겠다고 분투하는 몸짓 같기도 하다결국 자화상은 고통과 어둠에서 현실의 자아를 구출하는 해독제이자 다시 깨닫음을 찾아 고행을 떠날 수 있는 마음의 에너지이다.  자화상 곳곳에서 마야신화 속 죽음의 신이자 부활의 신인 아 푸흐(Ah Puch) 모습이 보이는 것도 극한의 고통과 깨닫음이 맞닿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되는 유현경의 개인전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10월 30일까지 서울 남산, ‘스페이스 안녕에서 볼 수 있다

 

 ▲유현경_길 위에서 #25_Oil on canvas_50x40cm_2023

 

◆ 작가노트 

어떤 얼굴까지 그리고 갈 수 있을까

얼마 전에.. 세상 밖으로 나가고 싶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세상이 어디에 있고 그 말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독일에 와서 나는 무엇을 했을까왜 그렇게도 혼자 있으려고 했나지금은 왜 혼자 있는 것을 힘들어 하는지 다시 지나간 줄 알았던 단어 둘어둠과 고통을 꺼내어 본다.  

어둠을 걷어내려고 어둠을 보는 것이라면 그때의 어둠은 무엇인가나의 어둠을 봄으로써 많은 것이 나의 어둠 때문이었음을 알게 되는 것은 그렇게 묶여 있던 어둠에서 잠시나마 나올 수 있는 방법이다어둠이 걷히고 밤이 수월해지면 이제 지나간 것 같아 밖으로 나가고 싶어 진다그렇게 혼자 있고 싶어 지지 않는 시간들이 찾아오다가 다시 또 밤이 힘들어지면 걷어내도 계속 찾아오는 어둠을 위해 또 그곳으로 가야 하는지 묻게 된다.  

어둠에 종속되지 않고 밝게 현현하는 어둠이 있다면 가 볼만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왜 어둠이 많은 사람을 찾게 되는지 묻는다어둠과 어떻게 싸우는지를 보는 것에서 성공을 배우고어둠에서 나오지 못한 왜곡과 오해를 보며 실패를 보게 된다어둠에서 벗어나길 기다리며 믿음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그것을 기다리는 과정에서 오해를 견딜 수 있는 것 같다.  

퇴폐와 암울에 갇히지 않고 밝게 현현하는 어둠그것을 그릴 수 있다면다시 찾아오는 어둠은 해체할수록 같은 어둠이 아니었음을 믿고 매일 조금씩 해체되어본다

 

 ▲유현경_길 위에서 #22_Oil on canvas_129x129cm_2023

 

어둠을 직시해야 깨질 수 있으니 바라보는 일을 쉬지 않아야 할 것이다.  

언젠가 나는 바라는 꿈처럼 먼지같이 가볍게 머물다 가는 사람이 된다얼마만큼 해체되고 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게 해체된 어둠만이 밝게 현현할 수 있음을 느낀다어떤 얼굴까지 볼 수 있을까.  

다시고통이라는 단어를 꺼낸다지금 그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고통이 있으므로 그것을 이겨낼 방편으로의 깨달음이 있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을 보기 위해 고통이 생겼다고 생각해본다그렇다면 고통속으로 찾아 들어가야 함이 정당화 될 것이고 고통은 깨달음을 위한 방편임을 생각해 본다그렇게 한다면 고통의 의미가 잠시나마 다르게 읽힐 것 같다그 둘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2025.6.6. 독일에서 서울로 오는 비행기에서.  

 

[작가약력

 

유현경 (b.1985)  

베를린 거주 

 

학력 

201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석사과정 수료 

200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5 <나는 피안으로 간다>, 갤러리 JJ, 서울 

2024 <유현경피쿠스 갤러리서울 

 <There is no end> Enseoul, 암스테르담네덜란드 

 <2020-2023년의 그림들을 돌아보며> Tdahaus, 서울 

2023 <가난한 사람이길이구 갤러리서울 

2022 <AISA NOW Paris 2022> 파리프랑스 

 <유현경 그림이길이구 갤러리서울 

단체전 

2025 <Displaced Becoming> Kunstpunkt Berlin, 베를린독일 

2024 <회화와 삶이 춤추는 시간. 2024 종근당 예술지상 역대 선정작가전세종문화회관 미술관서울  

 <LA PART MAUDITE _ the accursed share Queer Perspectives on Excess and Expenditure> instinct.berlin  

 베를린독일 

2023 <살롱 드 누크 갤러리누크갤러리서울 

 <double-ended> 강건유현경맹지영 기획누크갤러리서울 

 <나란한 얼굴유현경고등어 2인전교보아트스페이스서울 

 


#유현경 #길위에서 #자화상 #그_둘은_따로_존재하지않는다 #스페이스안녕 

관련 글 (카테고리: 예술문화)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