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카테고리: 흥미진진 과학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㉒ 빛은 어둠을 어떻게 이길까?

  빛은 어둠을 어떻게 이길까? ▲ 사이언스빌리지.김병민 저, 동아시아 출간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거짓은 결코 참을 이길 수 없다.   남편은 부인을 이길 수 없다.” 이 말은 ‘2016년 KBS 연기대상’에서 ‘베스트커플상’을 받은 차인표씨가 한 말이다....

2017-01-17 15:2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㉑ 우주를 지키는 어둠의 힘 - 암흑물질

  우주를 지키는 어둠의 힘 - 암흑물질 ▲ ‘아인슈타인의 반지’ (출처_Hubblesite.org) 중력은 시공간을 휘게 만들어 빛을 마치 반지처럼 보이게 하는데,    70년 전에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모형을 허블망원경이 찍었다. 암흑물질이 빛을 반지처럼 만들고 있...

2016-12-29 14:16: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⑳ 우주의 기운 - 암흑에너지(2)

  우주를 파괴할 힘, 암흑에너지? (2) 암흑 에너지가 지배하는 우주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옛날부터 위대한 철학자들이 한결같이 고민하던 문제다. 그리고 대부분은 아인슈타인처럼 우주는 영원히 변치않는 평화로운 ‘정상 우주‘의 모습일 것으로 믿었다. 아름답게 빛나는...

2016-12-09 18:13: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⑲ 우주의 기운 - 암흑에너지(1)

  우주의 기운 - 암흑에너지(1)   “간절히 원하면 우주가 우리를 도울 것이다” 라는 말이 유행한다.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고, 일본은 아베가 수상을 하고, 북한은 3대를 맞이한 왕조가 지배하고, 이웃나라 중국은 여전히 공산당의 독재아래 있으며 최근에 미국은 트...

2016-11-29 12:00: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⑱ 백인의 기원(2) - 건장했던 신석기인, 왜소해진 이유는?

   백인의 기원(2) - 건장했던 신석기인, 왜소해진 이유는? ▲자외선이 만든 다양한 피부색 (출처: 서울신문)  직립보행과 털이 없고 땀구멍이 있는 피부라는 훌륭한 냉각시스템을 장착한 인류는 ‘스토킹 사냥법’을 획득한다. 하지만 털이 없는 피부는 즉시 자외선에 노...

2016-11-16 18:00: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⑰ 백인의 기원(1) - 스토킹 사냥

  백인의 기원(1) - 스토킹 사냥   비타민D 결핍의 대표증상이 우울증이다. 비타민D는 햇살 속의 자외선을 쪼이거나 육류를 섭취함으로써 보충이 가능하다. 이 자외선은 인류에게 아주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유럽인의 흰 피부를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5000년 정도 ...

2016-11-04 17:32: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⑯ 우리는 고요할 수 있을까?

풀벌레 울음소리도 잦아드는 고요한 새벽녘의 세상은 정지한 것일까? 고요한 아침일지라도 세상은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보면 우주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과는 많이 다른 것이 분명하다. 우리가 사는 우주가 얼마나 분주한지 한번 알아보자. 상식적으로 빠르다고 알려져 있는...

2016-10-20 14:10: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⑮ 지진 이해 키워드 ‘규모’ ‘진도’

지진 이해 키워드 ‘규모’ ‘진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 경주시 남서쪽 9Km 지점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리고 오후 8시32분에 규모 5.8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한다. 13일 현재 여진이 100 차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에...

2016-09-30 19:3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⑭ 지진은 왜 발생할까?

지진은 왜 발생할까?     지진은 ‘활성단층’에서 주로 발생을 한다. 지구의 대륙이 몇 개의 판으로 나뉘어서 떠다닌다는 실이 밝혀진 것은 약 100년 전인 1912년이다. 독일의 기상학자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에 따르면 대륙판은 이동을 하면서 충돌을 하기도...

2016-09-21 17:1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⑬ 여름철 별자리

대삼각형의 사랑 이야기    여름철 별자리의 출발점인 ‘여름철 대삼각형’ 찾는 법은 지난호에서 배웠으니 오늘은 그 별자리에 대한 사랑의 전설을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직녀(Vega)는 중국 전설에서는 하늘에서 베를 짜는 처녀입니다. 목동인 견우와 사랑을 나는다는 ...

2016-09-02 18:19: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⑫ 여름철 대삼각형 직녀, 견우, 데네브

여름철 대삼각형 직녀, 견우, 데네브    8월 12일에는 지구에 유성우가 내렸습니다. 133년 마다 태양을 한 바퀴씩 도는 스위프트- 터틀 이라는 혜성이 뿌려놓은 우주 먼지가 지구를 만나면서 유성우를 만듭니다. 해마다 8월 12일에 있는 천문학의 축제입니다.   여...

2016-08-20 18:56: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⑪ 새가 보는 세상

새가 보는 세상    새의 눈은 자외선을 볼 줄 안다고 한다. 포유류는 2개이나 그나마 사람은 빨강, 파랑, 초록의 3색 광수용기를 가지고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의 총 천연색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새는 여기에 자외선을 보는 광수용기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자외선...

2016-07-21 16:1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➉ 새들은 왜 똥을 남길까?

새들은 왜 똥을 남길까?   ▲참수리의 배설 광경, 박헌우(2016)   느닷없이 하늘에서 쏟아지는 새똥 폭탄을 맞아 본적이 있는가? 아니라면 최소한 주변에 누군가는 맞았다는 소리를 들었거나 자가용 지붕에 있는 비둘기 똥을 발견한 적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새들은...

2016-07-08 11:5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⑨ 천둥, 물방울들의 처절한 비명소리

천둥, 물방울들의 처절한 비명소리    세상이 쪼갤 듯이 우렁찬 천둥소리. 어느 집의 대추나무에라도 벼락이 떨어졌는지 번쩍거리면서 질러대는 저 험악한 비명은 대체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천둥을 동반한 번개는 보통 적란운, 즉 소나기 구름에서 발생한다. 구름의 ...

2016-06-23 15:30: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⑧ 음치

음치인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2012년 영화 음치클리닉   “인구의 대략 5% 정도는 진짜 음정 음치인데, 이들은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고 음정을 불안하게 이탈하거나 남이 잘못 부르는 것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최근까지 컬럼비아 대학의 신경정신과 임상교수로...

2016-06-10 12:08:00
이전5678다음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