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미진진 과학스토리<52> 우주론 (1) 최초의 우주관 신들의 세계, 완벽한 우주
우주론 (1) 최초의 우주관 - 신들의 세계, 완벽한 우주 오늘날 주류 우주론은 ‘빅뱅우주론’이다. 그리고 이 우주론에 따르면 40억 년 후에는 안드로메다은하와 우리은하가 충돌한다. 태양도 그때쯤이면 적색거성이 되어서 지구를 삼키고 서서히 어둠 속에 묻힌다. 우주관 ...
2018-04-12 12:04: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51>1년의 길이를 어떻게 알았을까?(2)
1년의 길이를 어떻게 알았을까?(2) 태양을 한 바퀴 도는 시간을 우리는 1년이라고 한다. 그리고 1년의 주기를 모른다면 농사를 지을 수 없다. 수렵생활을 하며 떠돌다가 우연히 만난 과일들로 만족할 수도 있지만 계절에 따라 익어가는 과일들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 떠돌...
2018-03-29 12:47: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50> 1년의 길이를 어떻게 알았을까?(1)
1년의 길이를 어떻게 알았을까?(1)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은 365.24219879일이 걸린다. 지구의 공전주기라고도 말하고 우리는 이 시간을 1년이라고 부른다. 정확하게 365일이 아니다. 그래도 퉁쳐서 1년은 365일 이라고 하자. 인...
2018-03-16 12:11: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9> 빛은 무엇을 타고 흐르는가?(2)
빛은 무엇을 타고 흐르는가?(2) 앨버트 마이컬슨(1852~1931)은 광학(光學)의 최고 전문가였다. 25세 때 이미 빛의 속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해낸 인물이다. 그는 광학의 최고전문가답게 ‘마이컬슨 간섭계’ 라는 것을 만들었다. 이 원리는 중력파를 측정한 ‘라이...
2018-03-01 14:39: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8> 빛은 무엇을 타고 흐르는가?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48> 빛은 무엇을 타고 흐르는가? 독일의 작센안할트 주의 주도(州都)가 마그데부르크다. 이곳에는 오토 폰 케리케(1602 ~1686)의 유명한 실험이 조각으로 구현되어 있는데 그는 마그데부르크의 시장이면서 물리학자이기도 했다. 161...
2018-02-07 10:34: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47> 비트코인과 홍삼
흥미진진 과학스토리<47> 비트코인과 홍삼 건강기능식품은 4개의 등급으로 나뉘는데 2등급의 의미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라고 ‘식약처’는 말한다. 여기에 홍삼과 오메가3, 프로폴리스, 글루코사민, 백수오같은 유명한 보조식품들이 포함...
2018-01-24 11:02: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46> 인류문명의 수수께끼(2) - 차탈회유크
흥미진진 과학스토리<46> 인류문명의 수수께끼(2) - 최초의 도시 ‘차탈회유크’ (사진 설명_러시아 숭기르 유적. 3만 년 전의 50세 남자 무덤. 매머드 상아구슬 3천 개로 만든 목걸이,여우이빨로 장식한 모자, 상아 팔찌 스물다섯 개가 놓여 있었다) 인...
2018-01-10 18:53: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3) - 전곡리 구석기 유물은 왜 유명할까?<2>
전곡리 구석기 유물은 왜 유명할까?<2> (사진 설명_'신의 손'으로 알려진 후지무라 신이치(도호쿠 구석기 문화연구소 부이사장)가 조작된 구석기 유물을 땅에 묻고 있는 모습이 몰래카메라에 잡혔다.) 전곡리의 아슐리안 도끼로 인하여 호모 에렉투스가 지구의 동...
2017-12-28 16:28: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5) - 온난화라더니 웬 추위?
온난화라더니 웬 추위? 온통 지구가 온난화라고 난린데 올 겨울은 유독 춥고 더군다나 빨리 왔다. 한강은 지난 12월 15일에 얼었는데, 작년보다 42일이나 빨랐으며(2017년 1월 26일) 1946년 12월 12일 이후 71년 만에 가장 빨리 얼어붙었다. 모스크바보다...
2017-12-27 18:33: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4) 인류문명의 수수께끼(1) - 괴베클리 테페
인류문명의 수수께끼(1) - 괴베클리 테페 괴베클리 테페는 외계문명이라고 말 할 정도로 이상한 유적이다. 11,500년의 것으로 추정된다. 농업이 발명된 것이 10,000년 전이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전율할 일이다. 돌 하나의 무게가16톤이나 되는 것도 있다. 금속...
2017-12-15 15:34:00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2) 전곡리 구석기 유물은 왜 유명할까? <1>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42) 전곡리 구석기 유물은 왜 유명할까? <1> 고인돌은 교하의 하지석리의 산책로에도 대수롭지 않게 놓여있다. 구석기 유물은 그만큼 흔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전곡리의 구석기 유물은 무엇이 그렇게 특별한 걸까? 결론적으로 말하...
2017-11-17 12:52: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41)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3) : 봄날은 간다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3) : 봄날은 간다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은수가 헤어지자고 말하자 잘생긴 유지태가 분한 상우는 되묻는다. 2001년 개봉한 <봄날은 간다>의 한 장면이다. <봄날은 간다, 허진호 감독, 2001....
2017-11-01 12:11: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40)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2) : 친구가 행복이다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40>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2) : 친구가 행복이다 이제 상상을 해 보자. 우리는 그 누군가의 후손이다. 그 누군가는 남들보다 잘 생존했고 짝짓기에도 성공해서 건강한 자손을 남긴 오스트랄로피테쿠스다. 진화의 선...
2017-10-25 15:39: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39)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1) : 존재는 가볍다!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39) 과학이 말하는 행복 그리고 그 기원 (1) : 존재는 가볍다! “꿀벌은 꿀을 모으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인간도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벌도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이 자연 법칙의 유일한 주제는 생존이다.꿀과 행복,...
2017-10-25 10:51:00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38) 지구가 겨우 6000살 이라고?
흥미진진 과학이야기 <38> 지구가 겨우 6000살 이라고? 창간 3주년을 기점으로 진화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 하는데 때마침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로 오른 박성진씨가 화두에 오른다. 그는 진화를 부정한다. 여기서부터 출발해보자. “지구는 기원...
2017-10-10 15: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