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기술원] 도 농기원 ‘G-잡곡 프로젝트’ 사업확대로 농가소득 향상
도 농기원 ‘G-잡곡 프로젝트’ 사업확대로 농가소득 향상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국내 재배면적과 생산량 감소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잡곡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G-잡곡 프로젝트’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고 6일 밝혔다.
‘G-잡곡프로젝트’ 시범사업은 팥, 기장 등 10개 품목의 고품질 잡곡을 단지화 하고, 각 작목에 적합한 농기계 및 재배기술을 보급해 경기도 남부지역을 잡곡권역으로 육성하는데 초점을 뒀다.
이에 따라 화성, 평택, 안성 등 경기남부지역에 100㏊의 잡곡단지를 조성해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관행재배 농가보다 시범사업 농가의 소득이 10%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인과 지역농협 및 농업기술원이 긴밀한 협조 하에 생산, 가공, 유통의 일관체제를 구축해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잡곡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도 농기원은 2018년 ‘G-잡곡프로젝트’ 사업은 용인시를 추가로 총 4개소 7억 원을 지원, 가격경쟁력이 낮은 잡곡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자급률을 높이는데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잡곡은 도시민에게는 건강을, 농업인에게는 새로운 소득원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며 “G-잡곡프로젝트로 도내 잡곡산업의 활성화 및 농가소득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 ‘G-잡곡 프로젝트’ 사업개요
- 목 적 : 수입에 의존하여 소비가 되고 있는 잡곡의 재배기술과 유통개선으로 농가소득 작목으로 육성
- 사 업 량 : 3개소(화성,평택,안성)
- 사 업 비 : 650백만원
- 사업규모 : 100ha
- 시범요인
· 지역적합 신품종을 공급하고 단지화·규모화 단지조성을 통해 지역생태에 적합한 생력·규모화 표준재배 기술 보급
· 품목별 주산단지 농업인과 가공·유통 조직이 연계하여 계약재배를 통한유통시스템 구축
· 국내산 잡곡 품질 향상을 위한 선별·가공 등 시설현대화 지원
□ ‘G-잡곡 프로젝트’ 잡곡품목별 재배면적
품목
재배면적(ha)
비고
계
논
밭
10품목
100
31.2
68.8
들깨
5.4
1.6
3.8
서리태
12.1
2.4
9.7
차수수
2.5
-
2.5
참깨
7.3
-
7.3
찰보리
13.9
9.6
4.3
기장
7.0
5.5
1.5
녹두
2.0
1.5
0.5
율무
1.0
-
1.0
조
6.0
4.0
2.0
팥
42.8
6.6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