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안민석 국회의원] 대입전형료 천차만별 한해 1558억 수입

의원활동ㆍ경기도ㆍ경기도의회 | 작성일: 2016-08-31 13:03:00 | 수정일: 0000-00-00 00:00:00
안민석, 서민 등골 빼먹는 대입 전형료 장사로 작년 한해 수입만 1558억원  대학별로 비슷한 전형에서 8만 원 이상 차이나 학부모와 수험생이 납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마련해 거품제거 해야

 

전체 대학 신입생의 70%를 선발하는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앞두고 턱없이 비싼 전형료 때문에 서민 부담이 커져 거품을 제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경기 오산)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학년도 주요 대학 수시 입학전형료 현황’에 따르면, 사립대는 국립대보다 상대적으로 비쌌으며, 비슷한 전형끼리도 학교마다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세대의 특기자 전형, EIC전형, 글로벌엘리트 학부 전형이 14만 5천원으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슷한 전형인 성균관대의 글로벌인재 전형료는 6만원으로 그 가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현행 전형료 책정은 대학별로 자율에 맡겨져 있어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은 대학이 정한 전형료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2015년 수시/정시 전형료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200여개 대학이 2015년 한 해 동안 전형료로 수시모집에서 1,257억 원, 정시모집에서 301억 원을 받아 총 1,558억 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전형료 수입이 가장 많은 대학은 경희대로 약 64억, 다음으로 중앙대 58억, 고려대 56억, 성균관대 54억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대학이 전형료로 매년 큰 수입을 거두고 있음에도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전형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 안민석 의원은 “학생들에게 6번의 지원 기회가 주어지는 수시모집에서 전형료 부담이 만만치 않다”며, “대학들이 전형료 장사를 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학부모들 납득할 만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별첨 : 2015년 전형료 수입 현황, 2016년 전형별 전형료 현황

※별첨 자료는 위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 글 (카테고리: 의원활동ㆍ경기도ㆍ경기도의회)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