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여성청소년 생리(월경)용품 보편지원 추진본부, 기자회견 후 박대성 파주시의회 의장에게 5,128명 서명지 전달
파주시 여성청소년 생리(월경)용품 보편지원 추진본부,
기자회견 후 박대성 파주시의회 의장에게 5,128명 서명지 전달
파주시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추진본부(이하 추진본부·공동본부장 김찬우, 소경준, 류혜진)는 11월 18일 오후 3시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가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결정을 환영하며 파주시의회의 예산 통과와 조례 제정을 촉구했다. 추진본부는 기자회견 직후 시민 5,128명의 서명지를 파주시의회 박대성 의장에게 직접 전달하며, “시민들이 한목소리로 요구한 월경권 보장이 실질적 제도로 이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추진본부는 이번 서명 전달을 “5천 명이 넘는 서명 참여로 만들어진 직접 행동이자, 파주시 행정이 시민의 요구에 응답한 성과를 제도로 완성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는 의회가 예산과 제도로써 책임 있게 응답할 때”라며 “여성청소년의 월경권을 보장하는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파주시는 지난 11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 참여를 공식 발표했다. 경기도는 2021년부터 만 11세에서 18세 여성청소년에게 지역화폐를 통해 생리용품 구매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파주는 예산 부담을 이유로 참여하지 않아 약 2만 명의 여성청소년이 차별을 겪었다. 추진본부는 “이번 결정은 여성청소년의 월경권을 시정의 중요한 과제로 인정한 첫걸음”이라며 “행정이 시민의 요구에 응답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추진본부는 파주시의회가 반드시 2026년 본예산에 반영된 생리용품 보편지원 예산을 통과시키고, 안정적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월경권 보장이 일회성 정책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 가능한 제도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공동본부장 소경준(노동당 고양파주지역위원회 부위원장)은 “그 누구도 월경 때문에 건강과 존엄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며 “이번 서명운동은 시민이 행정과 의회를 움직인 직접민주주의의 사례”라고 말했다. 공동본부장 류혜진(파주울림장애인인권센터 대표)은 “예산 통과와 조례 제정은 선언을 권리로 만드는 과정”이라며 “이번 의회의 결정은 파주시가 성평등과 인권을 어떤 기준으로 바라보는지를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회견에 함께한 최성화 파주여성민우회 대표는 “월경은 자연스러운 생리 과정이지만, 생리용품 구입 비용은 여성에게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부담”이라며 “이 부담은 생존을 위한 필수 지출이며, 특히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어려운 청소년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지자체가 이를 공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기본적인 건강권을 보장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추진본부는 “시민이 직접 나서 만들어낸 이번 서명 전달은 파주시 행정과 의회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할 과제를 분명히 보여준다”며 “예산안 심사와 조례 논의를 끝까지 지켜보며 모든 청소년이 차별 없이 월경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행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추진본부에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파주지회, 가자평등으로 고양파주모임(정의당 파주시위원회, 노동당 고양파주지역위원회, 파주녹색당, 고양녹색당, 노·정·추), 파주울림장애인인권센터, 정의당 파주시위원회가 함께하고 있다.추진본부는 지난 10월 30일부터 서명운동을 시작해 불과 보름 만에 5,128명이 참여했으며, 파주시의회 의장에게 직접 전달한 것은 시민들이 “파주시가 즉시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한 뜻을 제도적 행동으로 옮긴 결과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