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우 정의당 파주시위원장, 파주 단수 재난 관련 긴급 기자회견 개최
김찬우 정의당 파주시위원장, 파주 단수 재난 관련 긴급 기자회견 개최
- 파주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전면 가동하라 등 요구
정의당 파주시위원회 김찬우 위원장과 운영위원회는 지난 11월 14일 파주시 전역 17만 가구에 발생한 대규모 단수 사태와 관련해, 파주시와 한국수자원공사의 무책임한 초기 대응을 강하게 규탄하며 재난 대응 체계의 근본적 쇄신을 촉구하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단수는 한강 하류권 4차 급수체계 조정사업 과정에서 광역상수관이 파손되면서 발생했으며, 단 하루 동안 수도 공급이 중단됐음에도 시민 피해는 매우 컸다고 위원장은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짧은 시간에도 다양한 경로로 접수된 시민 피해 사례들을 전하며, 이번 사태를 “명백한 사회재난”이라고 규정했다. 한 카페 운영자는 “단수 20분 전에야 안내를 받아 정상 영업이 불가능했고, 하루 매출 40%가 증발했으며 준비한 원두와 디저트까지 폐기해야 했다”며 생수를 끓여 설거지를 하고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설명했다. 또 다른 시민은 “단수로 물탱크와 보일러가 고장 나 수리비만 백만 원이 넘는다. 시가 제대로 보상해줄지 걱정된다”고 호소했다.
위원장은 파주시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초기 대응을 “매우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사고 발생 후 6시간이 지나서야 단수 공고가 게시됐고, 파주시가 단수 안내 문자를 발송한 시점도 공급 중단 약 30분 전이었다. 실제로 운정·야당 일대에서는 안내가 오기도 전에 이미 수압 저하와 공급 중단이 발생해 시민들이 이유조차 모른 채 불안에 빠졌다는 점을 문제로 삼았다. 특히 고령자·장애인·외국인 등 취약계층은 생수 지급 장소에 접근하기 어려워 지원에서 소외되는 상황이 발생했으며, 중증장애인·독거 장애인의 경우 ‘문 앞 배송’ 방식조차 실효성이 없었다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또한 파주시가 재난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고 비판하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즉시 전면 가동하고 투명하게 상황을 알리며, 피해 조사와 보상 체계를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파주시의회에는 사고 경위와 행정 대응 미흡을 규명하기 위해 특별위원회와 행정사무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를 단순한 사고가 아닌 사회재난으로 인식하고 상수도 시설 안전 강화와 위기관리 체계 전반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의당 파주시위원장 김찬우는 파주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전면 가동, 시장의 실시간 정보 제공 및 현장 대응, 생수 및 급수차 지원 확대와 취약계층 특별 지원, 피해 전수조사 및 공정한 보상 체계 마련, 시의회의 철저한 진상 조사, 상수도 시설 안전 강화 및 위기관리 체계 개선 등을 요구했다. 위원장는 “물은 생명이며 하루라도 없어서는 안 될 기본권”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파주시의 재난 대응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바로잡혀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위원장은 “시민의 안전과 권리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