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복 “언론개혁 없인 평화통일도 없다”-평화·통일 언론강연… 냉전언론의 뿌리·지역기자의 자세 일깨워
“평화는 경제요, 통일은 미래다”… 원희복 “언론개혁 없인 평화통일도 없다”
<파주언론사협회 기사공유>
10월 14일 신문협동조합 '파주에서신문(이사장 한기황)'에서 열린 언론진흥재단 공모사업 ‘찾아가는 저널리즘’ 강연에서 원희복 전 경향신문 선임기자는 “냉전언론을 극복하지 못하면 평화통일은 불가능하다”며 언론의 책임과 지역 기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원 전 기자는 “일제강점기 ‘보안법’과 ‘신문지법’은 항일운동을 억압하기 위한 식민지 통제 수단이었다”며, “오늘날 국가보안법과 반통일 언론의 논조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방 이후 친일·분단 세력이 언론과 결탁해 ‘반공’ ‘종북’ 프레임을 조장하며 평화 담론을 왜곡해왔다”며, 언론 내부의 자정과 구조개혁 없이는 국민 인식의 전환도 어렵다고 꼬집었다.
원 전 기자는 평화·통일 언론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 과제로 ▲출입처 제도 개선 ▲평화·통일 전문기자 양성 ▲오보 언론 지원 배제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언론사 자정 기능 강화 등을 제시했다.
그는 “파주야말로 분단의 상징이자 통일의 출발점”이라며 “지역 언론부터 냉전적 사고를 버리고, 평화 저널리즘의 눈으로 세상을 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파주지역신문 기자 6명과 시민활동가 2명 등 8명이 함께 한 강연에서 원 전 기자는 파주지역 기자들에게 특히 “냉전적 언어와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은 괴뢰가 아니라 72년 남북공동성명과 91년 유엔 동시가입, 6·15, 10·4, 4·27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국제사회가 인정한 독립국가”라며, “3대 세습이라는 특이한 정치체계이지만 나름의 안정성과 합리적 정책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남침 공포에 갇힌 안보 불안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 군사력은 북한보다 50배 이상 강하며, 과도한 불안은 평화 담론을 왜곡시킨다. 통일비용을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이미 78년 분단비용이 훨씬 크다”며 “독일과 베트남처럼 통일은 국가 재도약의 기회”라고 덧붙였다.
그는 “주변국이 통일을 도와줄 것이란 환상은 버려야 한다”며,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모두 현상유지가 자국의 최상 이익이다. 통일은 우리가 주체적으로 이뤄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원 전 기자는 통일의 필요성을 “인도적·생존적 과제”로 규정했다. 그는 “78년째 이어진 분단은 수백만 이산가족을 낳은 반인륜적 현실”이라며 “무력통일은 공멸을 부를 뿐, 평화통일만이 한민족이 함께 사는 길”이라고 말했다.
또한 “인구절벽으로 인한 위기 속에서 통일은 한국 재도약의 마지막 기회”라며 “통일은 이상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진보를 위장한 탈민족주의자들이 ‘코리아 양국체제’나 ‘2국가론’을 주장하며 분단을 기정사실화하려는 흐름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주체적 통일관과 언론의 책임의식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원희복 전 기자는 “언론이 평화와 통일을 가로막는 마지막 장벽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그는 “언론은 권력의 확성기가 아니라, 평화를 실천하는 양심의 도구여야 한다. 파주 언론부터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파주민보 김준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