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대표 축제에 특정 업체만 14회 선정, ‘짬짜미’ 의혹 일어 “시민 혈세로 특정업체만 배불리는 불공정 관행, 언제까지?”
파주 대표 축제에 특정 업체만 14회 선정, ‘짬짜미’ 의혹 일어
“시민 혈세로 특정업체만 배불리는 불공정 관행, 언제까지?”
▲ 파주개성인삼축제 사진
파주시 농업기술센터가 주최하고 파주개성인삼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하는 ‘파주개성인삼축제’와 ‘파주장단콩축제’의 행사 대행사 선정 방식이 도마에 올랐다. 최근까지 무려 14차례 이상 동일한 업체가 연속 선정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행사 공모가 아닌 ‘지정’에 가까운 불공정 관행이라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제안서 잘 써봐야 소용없다”. 형식적인 공모, 신생 업체는 들러리라는 자조섞인 소리가 나오는 이유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두 곳의 업체가 공모에 참여했지만, 선정된 곳은 또다시 기존 업체였다. 특히 이 업체는 이름만 바꾸어 매년 공모에 참여해온 정황까지 포착돼, 실질적인 독점 구조라는 의혹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로 이번 공모에 참여한 한 지역 신생 행사업체는 기존 업체보다 감액된 예산으로도 경쟁력 있는 제안서를 제출했지만, 결국 ‘경험 부족’과 ‘출연진 수준 미달’이라는 평가를 받고 탈락했다.
해당 업체 관계자는 “제안서를 아무리 잘 작성해도 정해진 업체가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며, “들러리로 참가한 기분”이라고 토로했다.
▲ 파주시농업기술센터
공모가 아니라 ‘내정’?… 매년 반복되는 업체 선정
문제가 된 기존 업체는 파주시의 대표 축제에서 한두 번도 아닌 10회 이상 연속 선정된 이력이 있다. 심지어 매년 사업자명을 변경해가며 공모에 응한 정황도 드러났다.
이로 인해 축제 주관사 선정 절차가 실질적인 경쟁을 통한 공정한 선발이 아닌, 사전에 정해진 업체를 위한 형식적 절차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요즘 가수 써야 된다”… 가수 섭외가 당락 가르는 평가 기준?
한편, 축제 담당 부서의 팀장이 “요즘 뜨는 젊은 가수를 써야 당선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는 인지도 위주의 평가 기준으로, 화려한 쇼를 선호하면서도 예산은 줄이려는 모순된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이 같은 기준은 결국 지역 가수와 예술인들의 참여 기회를 배제하고, 서울 등 수도권 중심의 연예기획사에게만 유리한 구조를 조장하게 된다.
▲ 파주장단콩축제 개막식 사진
14번 선정된 업체만 가능한 구조… 공정성·투명성 실종
현행 공모 방식은 제안서의 실질적인 평가 기준이 불투명하고, 주최 측의 자의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다분하다. 아무리 뛰어난 제안을 내놓아도 결국 특정 업체가 반복적으로 선정되는 구조라면, 공모는 보여주기식 행정의 전형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이는 시민의 세금을 특정 민간업체의 반복 수익 창출에 이용하는 행정 편의주의의 극단적인 사례라는 지적이다.
“내 돈처럼 써라”… 예산 집행 원칙은 어디에?
파주시의 대표 축제에는 매년 수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예술인과 단체는 소외되고, 외부 업체만 이득을 보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면 이는 명백한 혈세 낭비다.
행사 대행사 선정과 예산 집행 과정은 ‘누가 얼마나 좋은 공연을 기획했는가’보다, ‘누가 오랫동안 행사 주관을 맡아왔는가’에 좌우되는 듯한 폐쇄적이고 불투명한 운영은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제도 전면 재정비 필요… “모든 축제예산 꼼꼼히 들여다봐야”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 없이 반복되는 독점 구조를 방치한다면, 시민의 신뢰는 물론 지역 축제의 정체성마저 잃게 될 것이다.
파주시가 진정으로 시민을 위한 행정을 펼치고자 한다면, 이제는 축제 운영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와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행사인 만큼, 모든 축제 행사 예산은 ‘내 돈처럼’ 꼼꼼히 들여다보고 집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 가수 1~2명이라도 무대에 설 수 있도록 과업지시서에 명문화하고, 관내 업체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진짜 축제는 ‘공정’ 위에 세워져야 한다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 기반이 없는 축제는 외화내빈(外華內貧)에 불과하다. 축제는 지역민의 손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 지역 예술인의 무대가 되어야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파주시는 이제라도 특정 업체에만 유리한 반복 수의계약식 공모 구조를 전면 재검토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심사 기준 마련, 그리고 지역 업체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정책 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다.
파주 시민의 세금은 특정 업체의 잔치 자금이 아니다. 이 부당한 관행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배윤경 기자
#파주시 #파주축제 #파주개성인삼축제 #파주장단콩축제 #축제예산 #특정업체 #농업기술센터 #불공정관행 #지역예술인 #수의계약식 #심사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