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김경일 도의원, 경기도 택시정책, 3대 탁상행정사업 맹비판

의원활동ㆍ경기도ㆍ경기도의회 | 작성일: 2018-11-23 09:32:39 | 수정일: 2018-11-23 10:19:47

경기도 택시정책, 3대 탁상행정사업 맹비판

택시보호격벽, 안심귀가서비스, 택시카드단말기 교체사업

 

- 김경일 도의원, “업체기사 충분한 의견수렴 부족, 택시카드결재수수료 상향 조정 건의”-

 

김경일 도의원은 경기도 택시정책 중 3대 탁상행정으로 택시보호격벽 설치사업, 안심귀가서비스 사업, 택시카드단말기 교체사업을 꼽으며 경기도 택시정책의 전면 재정비와 업계기사들과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주문하였다.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김경일 도의원은 2122일 이틀에 걸친 경기도 교통국에 대한 2018년 행정사무감사에서 택시보호격벽 설치사업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택시보호격벽 설치 사업은 2015년 올해까지 4년간 추진햇던 사업으로, 당초 계획은 3,087대에 설치하려 하였으나, 올해 10월 기준으로 총 1,397대 설치에 그치고 있어, 계획대비 42.3%만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2017년에 설치된 보호격벽은 426대를 설치한 반면, 같은 해 경영서비스 평가 인센티브의 사용내역을 검토한 결과 413대 보호격벽을 설치한 것으로 자료제출 되었다. 이에 김 의원은 본 사업 426대 설치물량과 인센티브로 설치했다는 413대가 같은 보호격벽 설치를 이중 카운트 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인센티브의 부정 사용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드러냈다.

택시 안심귀가서비스 지원 사업의 경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사업으로 총 29,071대에 설치한 것으로 자료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설치 당시인 20145만건에서 201526천건, 20164,500건 그리고 올해 9월 기준으로 360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 질책하며 현재 관련 앱 제작회사는 사라지고, 실질적인 이용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며 후속조치에 대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택시카드결재단말기 사업에 대해서는 초기 추진단계부터 말썽이 있었던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게 된 이유를 물으며 최초 26,406대 설치할 목표였으나, 신청된 물량은 4,837대 뿐이었고, 실제 설치된 댓수는 574대로, 계획대비 2.17%만 집행된 사업이라고 지적하였다.

김 의원은 3대 경기도 택시정책의 탁상행정 사례를 지목하고 현장의 업계나 기사 분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데 너무 소홀했다택시요금인상으로 실질 혜택이 줄어드는 카드결재수수료 지원사업의 기준을 현행 8천원에서 만원이상으로 상향하는 것을 기사들은 더 바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날 김 의원은 GG콜사업자에 대한 위치정보(LBS)통신료 지원과 관련해서 도비로 LBS를 지원했는데, 도민들에게 콜비를 받으면 안되는 것 아니냐고 물었고, 김준태 교통국장은 콜비 요구 실태에 대해 조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관련 글 (카테고리: 의원활동ㆍ경기도ㆍ경기도의회)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