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공단 폐쇄 100일… “직접 손실만 8천억원”
개성공단 폐쇄 100일… “직접 손실만 8천억원” 평화통일시민강좌 정기섭 개성공단기업인협의회 회장 이번호에는 개성공단기업인협의회 회장의 강좌 내용을 싣는다. 6.15 정신을 실천하고자 모인 ‘평화통일시민행동’에서 지난 5월부터 ‘남북교류 협력재개촉구 평화통일시민 ...
2016-06-23 14:54:00
홍태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개성공단 이야기 ④
서로 모르는 것, 대화로 풀 수 있어 ▲개성시내 풍경. 장유유서, 남존여비 홍태표 고문이 여러번 말씀 하신 것은 예절이다. “공단안에서 나이 많다고 대접해줬어. 북한 사람들도 예절이 발랐지.” 개성공단은 남측 사람과 북측 사람이 따로 밥을 먹고, 따로 의료...
2016-05-13 14:03:00
홍태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개성공단 이야기 ③
한 순간 사라진 생활공동구역, 개성공단 ▲ ‘개성공단 전면중단으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삭발식을 하고 있다.(4월 8일) 난관에 부딪힌 임금직불, 총국에서 3개월간 설득 홍태표 할아버지가 처음 느낀 체제 갈등은 월급주기이다. “처음에 월급을 줬어. 각...
2016-04-15 14:22:00
홍태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개성공단 이야기 ②
남북 근로자들의 ‘공동생활구역’ ▲한국전력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북측 여직원. 공단출근 3개월이면 얼굴 색깔이 바뀌어. 홍태표 할아버지의 표현은 하나도 과장된 것이 아니다. 이렇게 백프로 몸빼를 입고, 검정이나 회색의 밋밋한 옷들에다 의사들 마저 일하러...
2016-03-18 13:13:00
홍태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개성공단 이야기 ①
몸빼차림 여성 근로자들 의사들까지 봉제공장에… 홍태표님은 1935년생으로 황해도 해주 출신이다. 1.4 후퇴때 남으로 내려왔다. 북에는 누님과 여동생 둘이 있어 항상 북쪽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강원일보에서 사진기자로 활동했다. 2005년 개성공단 첫 입주때 유...
2016-03-04 15:36: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㉓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4)
교류와 협력 거쳐 ‘남북연합"체제로 이번 호는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즉 실천적 방법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1년 칼럼의 결론에 해당된다. 그간 독일 ·예멘 ·베트남 등 분단되었다 재통일된 나라들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분단된 국가가 통일되기 위해...
2015-12-04 20:08: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㉒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3)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3)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대북포용정책 1980년대 말 노태우 정부는 냉전체제의 붕괴와 새로운 국제질서의 출현이라는 외부환경과 국내적으로 격렬하게 진행되었던 민간의 통일운동을 수렴하여 89년 9월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발표하였다....
2015-11-21 15:28: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㉑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2)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2) 현실성있는 통일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호와 다음 호에서는 지금까지 제기됐던 주요 방법론을 검토해보자. 이승만 정부의 북진통일론과 전쟁 발발 이승만 정부는 1948년 8월 남한만의 단독정부를 수립한 후 북진통일을 추진하였다...
2015-11-06 13:07: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⑳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1)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1)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은 한민족이라면 남북한 누구나 부를 수 있고 부를 때마다 가슴이 뭉클해지는 노래이다. 이처럼 남북 통일은 온 민족에게 당위로 여겨질 것 같지만 의외로 비용도 많이 들고 힘든데 남북이 평화...
2015-10-22 20:14: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⑲ 교착상태와 위기상태의 이중주
교착상태와 위기상태의 이중주 교착과 위기가 반복되는 남북관계 이명박 정부 이래 남북관계는 교착상태와 위기상태를 반복하고 있다. 남북이 적대하면서 으르릉대는 교착상태로 지내다 우발적 사건이 터지면 곧바로 전쟁 위기로 치닫는 위기상태로 바뀌고, 이를 어렵사리 미봉...
2015-10-12 12:28: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⑱ 갑산파 숙청 사건과 북한의 성장동력 (2)
갑산파 숙청 사건과 북한의 성장동력 (2) ▲혜산시에는 집집마다 나무굴뚝이 서 있다. 김일성을 유명하게 만든 보천보 전투 50년대 종파사건을 거치면서 북한은 김일성 독재체제로 바뀌었는데 이를 심화시킨 결정적 사건이 바로 갑산파 숙청사건이다. 압록강을 따라 상류...
2015-09-25 12:09: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⑰ 갑산파 숙청 사건과 북한의 성장동력 (1)
갑산파 숙청 사건과 북한의 성장동력 (1) 한 때 잘나갔던 북한이 갑자기 몰락한 원인은 뭘까? 북한은 6·25 전쟁 뒤 복구에 성공함으로써 1950년대 중반부터 10여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3%에 이르렀고 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남한을 압도했다. 폭격...
2015-09-10 13:07: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⑯ 북한 현대사의 주요사건 - 북한의 토지개혁⑵
북한 현대사의 주요사건-북한의 토지개혁⑵ ▲토지 개혁에 기뻐하는 농민 북한의 토지개혁은 봉건잔재를 청산해 근대화의 기초를 쌓았다는 점에서 또 남북의 이념적 분단과 뒤이은 전쟁, 그리고 분단의 고착화를 유발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사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
2015-08-13 12:36: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⑮ 북한의 토지개혁⑴
북한 현대사의 주요사건-북한의 토지개혁⑴ ▲해방 당시 북한 토지개혁 포스터 지난 번 칼럼까지 분단국들의 통일과정에 대한 얘기를 마치고 이번 호부터는 북한 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살펴보려고 합니다.남북한의 통일을 위해서는 우리의 파트너인 북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
2015-07-23 11:25:00
백장현 박사의 통일 문화 산책 ⑭ 통일의 필요조건과 남북한(下)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더 커야 통일의 필요조건 2두 번째 통일의 필요조건은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더 커야 한다는 것이다. 대립하고 있는 양국의 국력 균형이 무너진 후 통일에 대한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더 커야 통일의 동력이 작동한다. 물리학에서 두 물체 사이의 힘의 균형...
2015-07-10 11:4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