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경기도 1인 가구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도, 1인 가구 관련 통계 올해 처음으로 총정리

정치ㆍ행정ㆍ파주시ㆍ파주시의회 | 작성일: 2022-06-27 01:47:48 | 수정일: 0000-00-00 00:00:00

경기도 1인 가구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 1인 가구 관련 통계 올해 처음으로 총정리

지난해 경기도 1인 가구의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생활비는 주거와 식료품, 보건·의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2 경기도 1인 가구 통계27일 발표했다.

이번 자료는 도가 통계청의 인구총조사(2020)와 주택총조사(2020),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2020), 보건복지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2020), 경기도의 경기도사회조사(2021) 등을 재분석한 자료다. 도내 1인 가구 통계를 인구가구 주거 소득 등 8개 분야별로 총정리한 건 이번 자료가 처음이다.

경기도 1인 가구(2020년 기준)는 약 140만 가구로, 전국 1인 가구의 21.2%를 차지했다. 도내 전체 가구 내 1인 가구 비중은 201623.8%에서 202027.6%로 증가했다. 연령대는 30(19.4%), 50(17.0%), 20(16.9%), 40(1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난해 기준 1인 가구 월평균 가구소득은 100만 원 미만 36.6% 100~200만 원 23.9% 200~300만 원 20.7% 300~400만 원 10.7% 400~500만 원 4.3% 500만 원 이상 3.7% 등으로, 200만 원 미만60.5%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월평균 소득 200만 원 미만 비중 59.5%에서 1.0%p 상승했다. 지난해 경기도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300만 원 미만 17.7% 300~400만 원 미만 16.6% 100~200만 원 미만 16.0% 등의 순이었다.

1인 가구는 가구 생활비로 주거비(30.5%), 식료품비(25.2%), 보건의료비(20.7%) 등의 순으로 많이 지출했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생활비 지출 비중이 식료품비(25.4%), 주거비(23.9%), 보건의료비(17.6%) 등의 순인 것을 고려하면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주거비와 보건의료비 부담을 크게 느낄 것으로 분석됐다.

1인 가구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자평했을 때 좋다48.1%, ‘나쁘다23.3%였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응답(좋다 58.6%, 나쁘다 11.6%)과 비교 시 1인 가구의 건강 상태가 상대적으로 나쁘다는 인식이다.

1인 가구의 66.1%(경기도 전체는 69.6%)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83.1%), 예금·적금·저축성보험(37.5%), 사적연금(13.7%) 등 순이었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준비할 능력이 없다(45.9%),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다(24.7%), 자녀에게 의존한다(14.7%) 등을 꼽았다.

2020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 면적은 40~60이하(35.6%), 20~40(26.3%), 60~85(22.8%) 등의 순으로, 1인 가구의 67.3%60이하 주거 면적으로 거주했다. 거주지 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은 직장 및 취업(42.2%), 경제적 여건(13.3%), 가족친인척 및 지인 거주(12.8%) 등의 순이다.

지주연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도내 1인 가구의 분포와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도내 1인 가구 통계를 정리했다앞으로 도의 1인 가구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 글 (카테고리: 정치ㆍ행정ㆍ파주시ㆍ파주시의회)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