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해와 오해 [68] 영웅의 죽음

입력 : 2017-07-18 11:13:00
수정 : 0000-00-00 00:00:00


영웅의 죽음



칭기즈칸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의 정복 사업은 세계사의 새로운 문을 열어놓았다. 그는 위대한 정복자, 영웅, 제국의 건설자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의 무덤이 어디 있는지 모른다. 더 나아가 그가 어떻게 죽었는지도 모른다.

정사인 『원사(元史)』에 나오는 칭기즈칸의 죽음에 관한 기록은 너무 간단하다. (서기1277년) “가을 7월  임오(壬午) 날 기축(己丑) 시에 살리천사로도(薩里川啥老徒)의 행궁에서 뜻밖에 죽었다”는 단 한 줄의 기록만 있다. 한자 글자 수로 치면 딱 스무 자이다. 죽은 후 몽고의 켄트산에 묻혔다고 하나 그의 무덤이 확인 된 적은 없다. 그의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도 온갖 추론이 어지럽다.

당시 로마교황청의 사절로 몽고에 와있었던 카르피니 신부는 『우리가 타타르라고 부르는 몽고인의 역사』란 책에서 칭기즈칸은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기록했다. 그 시절 서방세계의 간절한 희망이 아니었을까... 

몽고인 사캉이 17세기 후반에 썼고 몽고의 『사기』라는 평가를 받고 있고 『사고전서』에도 수록된 『몽고원류(蒙古源流)』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징기즈칸이 서하(西夏)를 공격하자 서하가 항복을 구걸했다. 칭기즈칸은 서하의 왕비를 약탈했다. 어느 날 칭기즈칸이 서하 왕비를 욕보이자 성격이 강경해서 칭기즈칸을 깊이 증오하던 왕비가 칭기즈칸의 남근을 물어  뜯은 후 강에 투신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칭기즈칸은 출혈과다로 죽었다. 이 얘기는 『몽고원류』를 제외하고는 정사는 물론이고 야사에도 등장하지 않는다(다만 지금도 외몽고인들 사이에서 구전되고 있다). 그래서였는지는 모르나 몽고군의 피정복민 학살은 유명하지만 서하에 대해서는 유독 가혹하고 철저했다. 서하 왕국을 세운 탕구트인은 아예 종족 자체가 사라져버렸다. 

마르코 폴로는 1275년에 중국에 와서 17년을 쿠빌라이 치하의 원나라에서 살다 갔다. 그는 『여행기』에서 칭기즈칸이 서하를 공격하는 전투 중에 서하 병사가 쏜 독화살이 무릎에 박혀 중독사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이 얘기를 뒷받침하는 어떤 간접증거도 없어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표시한다. 

또 하나의 사망 추정원인은 말에서 떨어져 뒤따르던 병사들의 말발굽에 밟혀 죽었다는 설. 이 가설의 기초는 『몽고비사』이다. 13세기에 몽고인이 썼다고 추정되며(작자미상) 몽고인의 역사를 가장 폭넓게 기술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세계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된 『몽고비사』는 칭기즈칸이 서하 정복전쟁 중 사냥을 나갔다가 말에서 떨어진 사실만 기록하고 있을 뿐 이후의 사태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마지막으로 아들 우구데이에게 독살되었다는 주장. 최근 러시아 학계가 발굴한 킵착 칸국의 사료를 바탕으로 한 주장이다. 그에게는 아들이 네 명 있었다(차례대로 조치, 차가타이, 우구데이, 톨루이). 조치와 차가타이가 칸 자리를 두고 경쟁했다. 칭기즈칸은 첫째와 둘째의 싸움을 막기 위해 셋째인 우구데이를 후계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셋째에게 불만을 느낀 그는  가장 사랑하던 막내 툴루이를 후계자로 세우려 했다. 이를 눈치 챈 우구데이가 아버지를 독살 했다는 추론이다. 

필자가 지지하는 추론은? 남근 물어 뜯김 설. 왜냐면 가장 극적이면서 가장 비영웅적인 죽음이니까.....(사실은 아들에 의한 독살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 동서양과 고금을 통 털어 권력의 속성이 그런 거니까.)   




#69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